#WVC테솔팀챌린지, #태솔자격증, #웨나치베리테솔, #WVC테솔, #WenatcheeVlogChallenge, #온라인테솔, #WVCTESOL, #WVC대학테솔, #테솔온라인공부
Unit 5 Classroom Management 유닛5에서는 수업 진행 방법에 대해 많은 포인트를 배울 수 있었다.

Warmers Warm-up은 수업중 가장 먼저 시작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절대 10분을 넘지 말 것! 그리고 지루하게 목차에 대해 나열하거나 퀴즈를 보는 것은 그만두고 게임, 사진, 속담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거나 짧고 간단한 Q&A로 학생들의 긴장을 풀고 수업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Grouping Students 학생과 그룹 수업을 할 때는 항상 같은 파트너가 되지 않도록 “Turn and Talk” 옆을 돌아보고 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조립수업이이루어질경우모든아이들이참여할수있도록필기하는친구,토론을이끌어가는친구,그다음에앞에서이야기하는친구등이렇게역할과업무를배정해야한다. 그리고 매 수업마다 다양한 레벨의 친구들이 있는 것 같아. 이때 한 그룹에 자신만만한 친구들을 모두 배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유닛 5는 수업을 구성하는데 어떤 부분이 중요하고 필요한지 배울 수 있었다. 이 이론을 실무에서 모두 실천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더 높은 퀄리티의 수업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구성해야겠다고 생각했다.Unit 6 Assessment and Error Correction

Topics of Unit 6 유닛 6에서는 평가방법과 학생들의 실수와 오류에 대한 선생님의 자세를 배울 수 있었다. 어렸을 때 TEST라는 단어 자체로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많았고 시험 날에는 학원에 가기 싫어서 떼를 쓴 적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 강의를 듣고 GAME도 평가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신선했다. 게임을 하면서 아이들이 무엇을 배웠는지, 어느 정도 이해했는지 각 학생의 습득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됐다.그리고 아는 것은 실수, 모르는 것은 오류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예를 들어 강의가 다른 주제로 넘어가면 앞에서 배운 것을 일시적으로 잊어버려서 틀린 것은 잘못이다. 특히아이들이실수를했을때즉시고치는것이아니라기다리고웃고칭찬함과함께이런점들은조금더집중해서하면된다라고다정하게알리는것이매우중요하다는것을느꼈다.배우는학생을실수하지않는것이중요한포인트이다. 선생님의 말씀처럼 Mistake is AWESOME이라는 말을 항상 아이들에게 심어주고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도와주는 선생님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Unit 7 Course Design and Lesson Planning

Designing your course 영어 강사를 준비하고 있는 나에게 유닛 7은 매우 흥미롭고 도움이 되는 유닛이었다.Backward Design은 학생이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에 대한 결과치를 먼저 도출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수업을 구상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이 얼마나 이해하고 알았는지 테스트, 퀴즈 등을 통해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어떻게 아이들을 가르칠지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처음에는 왜 Design이라는 말이 붙었는지 이해하지 못했지만 선생님도 건축가 같은 디자이너라고 했지만 갈수록 공감대가 커졌다.

Summary of Unit 7 수업에 사용되는 Textbook은 학생과 선생님 모두에게 도움이 되며, 아이에게는 지루하지 않은 교재를 선택해야 하며, 교재가 없어도 컴퓨터로 충분히 수업을 진행할 수 있어 선생님이 강의 중에 몇 가지 도움이 되는 사이트를 추천해 주었다. 또한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모두가 조화를 이루는 수업, 다양한 액티비티로 학생들을 지루하게 하지 않는 수업, Timing이 결합된 수업으로 티칭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는 점을 배웠다.Unit 8 Teaching Reading

Reading Strategies 이번 유닛 8에서는 읽기(읽기)의 티칭법에 대해 배웠다.
<Reading Strategies 읽기 세 가지 전략(종류)> 1) Reading for detail: 세부 내용을 찾기 위해 모든 내용을 파악하면서 책을 읽는다. ex-Deciding wht to eat from a menu2) Scanning: 특정 정보,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

< Intensive Reading > 집중이 요하는 읽기 : Detail , Meaning , feelings , grammatical features , vocabulary
<리딩 절차> 1. Create Interest: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라 2. Pre-teach vocabulary: 단어를 읽게 하라 3. Give areading task: 책을 읽게 하라 4. Follow up activities: 독서 활동을 하라

Extensive Reading <Extensi ve Reading> 리딩에 대한 즐거움을 부여한다. 아이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Level-appropriate 각각의 수준에 맞는 교재와 숙제를 할당해야 한다. 얼마나 많은 단락,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가.
후반부로 갈수록 강의 내용이 깊어져 강의 중에 스페이스 바를 몇 번 누르는지 몰라도 굉장히 재밌어! 어려워질수록 따로 공부해서 나만의 티칭법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점점 강해진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