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M 이란 (vs RPM)

1.RPM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 Windows를 예를 들면 setup.exe개념 설치한 뒤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작, 이런 설치 파일의 확장 이름은*. rpm패키지라고도 한다.RPM은 패키지 설치를 하기 위해서 그 패키지의 필요 요소를 모두 따로 따로 다운로드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다시 RPM의 의존성 문제가 있다.예를 들어 Firefox는 X윈도에서 동작하지만 X윈도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Firefox를 설치하면 설치되지 않습니다.1)RPM의 파일 형식 ex)gedit-2.6.1-1.fc11.i586.rpm위의 예를 형식에서 나타난다면[패키지 이름]-[버전][릴리즈 번호].[피도라 버전][아키텍처]. rpm에서 볼 수 있다.2)RPM명령의 사용법 우선, RPM명령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rpm[옵션][패키지 파일]3)RPM주로 사용하는 명령-패키지 설치:rpm-ivh[패키지 이름]-패키지 업그레이드:rpm-Uvh[패키지 이름]-패키지 삭제:rpm-e[패키지 이름]2. YUMYUM은 Yellowdog Update Manager의 약자 RPM은 의존성의 문제로 불편한 점이 있다.한편 YUM은 특정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의존성이 있는 다른 패키지를 자동적으로 먼저 깔아 주는 지능적인 도구. YUM는 인터넷을 통해서 RPM파일이 저장된 스토리지(repository)에서 설치하려는 RPM파일과 그 RPM파일이 의존성을 지닌 다른 RPM파일까지 전부 다운로드한 뒤 자동으로 설치까지 하는 1)YUM명령의 사용법 yum[옵션][패키지 이름]-패키지 설치:yum install[패키지 이름]또는 yum-y install[패키지 이름]->여기서-y는 설치 여부를 확인하면 무조건 yes를 의미합니다. -현재의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중에서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 출력:updatecheckmremove[패키지 이름]-패키지 버전 확인:yum-version-설치된 패키지 정보 확인:yum info[패키지 이름]#yum은#rpm#yum#rpm과 비교#패키지 설치#리눅스#linux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