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가 추워져서 아이들이랑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어요
근데 이번에 내린 눈으로 아이들 텐션이 올라갔는데 눈이 후두둑 내릴 때 나왔는데 다녀오자마자 눈이 녹아서 제대로 눈놀이를 할 수가 없었어요그게 조금 아쉬웠어요
함박눈으로 쌓이는 눈이라고 다녀와서 눈놀이를 하자고 했는데도 눈싸움도 눈사람도 못 만들었으니까요.” 그런데도 불평하지 않는 아이들 덕분에 엄마는 오늘도 행복합니다.왜 이렇게 예쁜 천사들을 내게 보내줬는지 그렇게 생각하게 되죠?(둘이 싸울 때는 빼고)


요즘 부쩍 과학 얘기에 관심을 갖는 빽빽해요
이것저것 궁금한 게 많은지 엄마한테 여러 가지 질문을 하는데 엄마도 열심히 설명을 해주지만 결국은 아이가 잘 이해하도록 하려면 말이 아니라 책과 글과 도구를 사용하는 게 제일 좋아요.
그래야 아이의 뇌리에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최근 해와 달과 같은 혹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여섯 살짜리 딸을 위해 유아 책을 보면서 태양계 행성의 순서를 함께 알아봤습니다.
저는 공과대학 여자에서 이과를 전공했습니다.특히 지구과학은 고등학교 때 과학중에 가장 잘했던 부분이라 항상 만점을 받았습니다.제가 학교에 다닐 때는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이라고 암기했던 것을 확실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제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 순으로 넣지 않거든요.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를 살펴보면 그 이유는 로웰이 발견한 명왕성이 생각보다 작았기 때문입니다.
명왕성의 크기가 달의 크기와 비슷하다고 판명되었으나, 현대 과학에서 밝혀진 바로는 달의 2/3 크기밖에 없다고 합니다.명왕성을 행성으로 인정하려니 이보다 더 큰 행성도 있어서 애매하게 되어 버렸습니다.
결과적으로 명왕성 퇴출 이유는 작은 크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공전 궤도가 둥글지 않고 타원형이라는 점까지 더해져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에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태양계 행성의 순서를 보면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총 8개입니다.인간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지식은 아니지만 머리가 크고 세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유아과학을 아람과학특공대 유아책으로 살펴보면 얼마나 뿌듯한지 모릅니다.


이렇게 직접 조립해서 태양계 행성 모형을 만들 수 있어서 아이들에게도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플라스틱 모형을 뜯어서 조립하니까 어렵지 않았어요.순서대로 끼우니 순식간에 완성할 수 있었어요.
유아의 책을 읽고 실험을 하고 손으로 직접 만질 수 있는 모형 키트까지 들어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요!

반짝반짝 우주대스타는 누구야?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서 태양계 행성 순서의 특징도 알 수 있는데 안드로메다 방송국 우리 리포터의 중계로 우주 대스타가 누구인지 알아보았습니다.
태양계란? 태양과 함께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8개의 행성, 소행성, 위성입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해왕성은 가장 강한 바람이 붑니다.천왕성은 희미한 고리를 가지고 옆으로 누워서 세로로 놓았는데 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이랍니다.토성에는 고리가 있지만 토성의 고리는 돌, 먼지,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목성은 최대크기로 매우 강한 소용돌이치는 대적반이 있습니다.화성에는, 불그스름한 색과 함께 가장 높은 올림푸스산이 있습니다.푸른 지구는 물과 공기가 있어 생명체가 살 수 있고 위성의 달도 있습니다.금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행성에서 가장 뜨거운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수성은 가장 작은 행성으로 낮에는 뜨겁고 밤에는 차갑지만 낮과 밤의 온도차가 매우 커요.

각 별의 크기와 색깔, 왜 인간이 그렇게 우주여행을 하면서 비밀을 알아내려고 하는지가 나와 있어요
8개의 행성 중에 물이 있고 공기가 있어서 식물과 동물과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은 지구별밖에 없는데요.이 넓은 우주와 은하수에 생명체가 존재하는 유일한 별이라고 생각하면서 창조자에 대한 경이로움도 생겨납니다.
함께 아이들이 살아갈 다음 세대를 위해 자연을 보존하고 환경을 아끼는 실천을 해야 할지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에 파괴되는 아픈 지구가 아니라 공존하며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유아책 #과학특공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