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비즈니스리뷰 #영화 #컨텐츠 #플랫폼 #오리지널 국내 이용자가 700만 명에 달하는 세계 최대 동영상 대여 사이트 OTT 서비스, 넷플릭스 세계 최대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봉준호 감독의 옥자를 시작으로 미스틱 윤종신의 첫 제작영… m.blog.naver.com
넷플릭스의 보유 콘텐츠 수는 몇 개일까?올레와 같은 IPTV 제조사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 수와 비교하면 넷플릭스는 실제의 절반 정도로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하는데 사용자들은 넷플릭스에 콘텐츠가 많다고 느끼는데요. 그 이유는?
넷플릭스가 처음 진출한 2016년 당시만 해도 성공을 예상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한국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TV 드라마 콘텐츠가 넷플릭스에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넷플릭스의 성공 이유 열성 팬들이 정말 많기 때문에 보유 콘텐츠 수가 적어도 성공할 수 있었던




옛날에는 품질과 디자인, 고객서비스가 브랜드의 팬층을 형성하는 이유였다면,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넷플릭스, 열광적인 팬의 정체 넷플릭스는 모든 사람을 위한 서비스에서 목표를 정하지 않고 철저히 빈 시간에 볼거리를 찾는 사람을 목표로 한 유튜브나 칙톡 등 동영상 공유 서비스와 비슷하다.
영화광 같은 특정 영화나 전문가, 신작 탐험가가 아니라 가벼운 마음으로 시간을 보내는 이용자를 타깃으로 삼았으므로 만족할 만한 내용으로 충분했다.

왓챠 국내 OTT 기업과 차별화된 넷플릭스의 전략은
넷플릭스가 성공한 이유?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고객의 기호에 맞춘 콘텐츠 승부 바로 다량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인해 2018년 기준 약 1500시간 정도의 양으로 하루에 1시간씩 봐도 약 5년간 볼 수 있는 양이라고


이런 다량의 오리지널 시리즈는 다른 곳에서도 만들 수 있는 아마존도 자체 제작 PBPB 브랜드를 만들어 자신만의 콘텐츠로 시장 공략을 하려 하지만 아직 큰 호응을 얻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자적인 서비스는 누구나 만들 수 있지만, 저의 고객의 취향에 맞는 독자적인 제품과 서비스가 필요한 것
아마존과 넷플릭스의 차이아마존은 모두를 위한 서비스를 다량 제공하는 것이 활약하지 못하는 이유로 본다.시장경제 논리하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서비스는 누구를 위한 서비스가 아닐지 모른다.


넷플릭스의 또 다른 차별화된 성공전략으로는
시청자들의 시청 패턴, 시청 특징과 습관을 분석해 소비자에게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선별하는 서비스 선택의 폭을 줄이고, 소비자가 좋아할 만한 서비스를 선별해 추천하는 빅데이터 이용을 통해 큰 고민 없이 콘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용자들이 이미 이 작품을 비밀로 할 만한 새로운 작품이 많다고 생각하게 하여 지루하지 않게 넷플릭스 자체가 흥미롭다고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과거에는 결제 방식 1개당 방식이 주류였지만 넷플릭스는 월+콘텐츠 무제한 구독 경제를 시작했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편당 결제보다 소비량이 적다고 생각할 수 있다




넷플릭스는 상업적 목적을 철저히 숨기고 광고가 없는 것처럼 느끼게 하여 상업적 의도가 없도록 한다
실제로 넷플릭스 이용자들이 광고를 보지 않는 시간이 1년에 160시간에 달한다며 가입 해제를 쉽게 하기 위해 가입 해지 버튼을 내세웠다.
소비자는 이성보다 감성으로 흐를 것을 간파한 마케팅이다



충성심의 고객은 감성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