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효소는 ①대부분 가수분해효소다. 물을 가지고 분해하는 것이다.
가수분해효소의 작용②주성분은 단백질이므로 최적(효소의 활성이 최대가 되는) 상태가 있다. 이는 단백질이 가진 기본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A) [소화기관별 pH] : 소화기관별 pH가 다르기 때문에 효소는 각 소화기관에 최적화되어 있다.
(B) [효소별 최적 pH]
어떤 효소 세제에는 일반적인 세제 성분 외에 미생물에서 추출한 지방분해효소인 라이페이스가 첨가돼 있다. 아래 그래프는 pH 변화에 따른 한 동물의 라이페이스와 미생물에서 추출한 세제용 라이페이스(lipase)의 지방 분해 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두 효소의 지방을 분해시키는 최고 속도는 서로 다르며 만약 아래와 같다면 세탁 시 기름때가 효과적으로 분해되기 위해서는 세제 용액의 pH가 10 정도로 유지돼야 한다. 최근에는 이런 높은 pH 최적효소가 아닌 중성에서 최적 상태의 효소가 나온다.
(C) [효소의 최적 온도] : 효소는 최적 상태에서 가장 활성이 높다. 이는 가장 능력이 높은 상태임을 의미한다. 변성은 곧 기능 상실인 것 같다. 단백질의 구조가 바뀌어 기능이 상실된다. 단백질의 구조는 기능이다.
아래 그림(A)은 소화효소 A와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그림(B)은 온도를 70℃로 높였을 때의 소화효소 A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B)에서 효소의 활성부위가 바뀌어 기질인 지방과 반응할 수 없게 될 것이다.
③ 유기 촉매(유기물로 이루어진 촉매)로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고 반응 속도를 증가시킨다(점선). E는 활성화 에너지가 감소한 만큼을 말한다.
④ 열을 받으면 변성 変(변성 ᅵᅳ 喪失 기능 상실): 온도가 높아지고 구성분인 단백질이 변성되면 다시 회복하지 못할 수 있다.
⑤ 모든 효소가 그렇듯이 기질특이성(※기질=효소와 반응하는 물질)이 있다.예를 들어 아밀라제는 전분과 펩신은 단백질과 라이페이스는 지방으로만 반응한다.
효소의 전구체는 효소로 변하는 물질로 활성이 없는 효소라고 보면 된다.(명칭: ~노겐 또는 프로~를 많이 사용하는데 학회에서는 이 명칭을 통일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주로 이름을 바꾸면 교재가 새로운 버전이 된다.
전구체에서 분비하는 목적은 분비기관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소화기관을 구성하는 성분이 단백질, 지질 등이므로 이를 분해하는 효소로 그대로 분비되면 분비선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펩시노젠, 트립시노젠, 프롤라이페이스, 키모토립시노젠 등을 봐도 대체로 단백질 또는 지방분해효소의 전구체다.아밀레이스와 같은 탄수화물 분해효소는 전구체가 필요 없다. 왜냐하면 생체 구성 비율이 낮기 때문으로 보인다.
#소화효소의 특징 #효소 #전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