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영화 ‘택시운전사’ 리뷰 [영화를 좋아하는 여성의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월요일이어서 그런지…오늘은 눈이 매우 피곤하네요ㅠㅠㅠㅠ

오늘은 좀 의미가 있어도 아파서 쉽게 말할 수 없는 영화 리뷰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송강호, 유해진, 류준열, 토마스 클레체만이 주연한 2017년 개봉한 영화 ‘택시운전사’입니다.518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영화로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로 유명합니다.

사실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소감을 쓰려다 보니 조심스럽고 망설여졌습니다.그래서 되도록 내용은 요약해서 쓰되 영화만의 느낌이 나는 그 감정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화 택시기사는 딸을 키우며 택시기사로 지내는 만섭(송강호)이 외국인 손님을 태우고 사건이 시작됩니다.사실 약속된 택시기사는 따로 있었지만 밀린 집세를 갚기 위해 우연히 광주에 갔다가 퇴근 전에 돌아오는 조건으로 ○○라는 거금을 준다는 얘기를 엿듣고 독일 기자 피터(토마스 클레체만)를 태우고 광주로 가는 만담.

영어를 애매하게 하는 만섭은 그렇게 아무것도 모르는 채 단 재미를 본다는 생각으로 광주로 향하게 되는데..첫 번째 관문에서 벗어나는 것이 쉽지 않았던 그는 현명하게 그곳을 빠져나와 광주에 도착합니다.그런데.. 거기에는 뉴스에서 봤듯이 많은 사람들이 민주화를 외치고 있어 경찰, 군인 누구 한사람이라고 말할 필요도 없이 그들을 쫓아내기에 바빴습니다.

그런 그들을 취재하기 위해 온 기자 피터. 모두가 두려워 외면하는 그곳을 직접 부탁으로 들어간 겁니다.

민주화를 위해 싸우는 그들을 취재한다면 반드시 이 현실을 알리겠다고 다짐하는 피터. 하지만 만섭은 그와 반대로 뉴스 얘기만 사실대로 믿고 그들을 신뢰하지 않았습니다.그런데..처음에는 돈이 목적이던 그가, 어느순간.. 시간이 지날수록 드러나는 진실에 자꾸 흔들리게 됩니다.

위험한 이곳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는 생각에 밤에 몰래 집에 들어가려는 만섭이.하지만 밥을 먹다가.. 광주에서 일어나는 민주항쟁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진실은 모른 채 뉴스에 나오는 말만 믿고 있는 현실을 접하고 다시 광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리고 누구나 시금치를 먹고 나면 환자를 병원으로 데리고 가서 위험을 무릅쓰고 사람들을 도와줍니다.

그리고 이 진실을 세상에 밝히기 위해 피터를 공항에 데려다 줘야 할 차례.하지만 이미 서울에서 온 택시를 탄 외국 기자들로 정부는 이들만 쫓고 있는 상황.

이 두 사람을 위해 광주의 택시 기사들은 함께 만섭과 피터가 광주를 벗어날 수 있도록 돕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마지막 관문인 광주를 빠져나가는 그곳에서.. 마주한 것은.. 검문을 하고 있는 군인들..

검문소 중사는 뭔가 이상을 느꼈는지 트렁크를 열어봅시다.서울의 번호판. 마음이 두려운 만섭과 달리 군사는 번호판을 보고도 모른 척합니다.그리고 택시는 모두 신고하라는 위의 말씀과는 달리 그대로 보내주는 것입니다.

사실 여기서 놀란 건 이 중사의 목소리였어요.너무 허스키하고 매력적인 목소리의 배우 엄택이씨.. 하트뿅뿅..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웃음)

그리고 곧 공항으로 간 피터는 택시기사에게 이름과 전화번호를 물어보게 됩니다.이 사실을 만천하에 알리게 된 피터는 다시 한국에 돌아와 택시기사가 써준 이름, 김사백을 찾게 됐지만 어디에서도 이름을 찾을 수 없었어요.

영화 ‘택시운전사’, 아무도 모르게 묻힐 뻔했던 그날의 진실을 알려준 기자 위르겐 힌즈페터 씨와 택시운전사 김사복 씨, 그리고 박 중사.

이 영화가 화제가 된 이유는 이 모든 위르겐 힌즈페터 씨와 택시 운전사 김사복 씨가 실제 인물이고 실제 있었던 일이라 더욱 화제가 되었습니다.

더 놀라운 것은 이 중사의 역할도 실제로 있었다는 점입니다.택시기사 맨복과 피터가 있었더라도 이 중령이 없었다면 과연 그날 광주에서 있었던 진실이 세상에 드러났을까. 이 또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모두가 외면한 그날의 진실을 직접 들어가 취재해 준 위르겐 힌즈페터와 김사복 택시기사가 두 명 없었다면 어땠을까.참 많은 생각을 하는 영화 택시 운전사.

참고로 김사복씨의 가족이 딸이라는 것은 그를 찾을 수 없어서 연출한 부분이고, 김사복씨의 실제 택시기사의 아들이 영화가 개봉된 후 사진과 함께 나타났습니다.그리고 실제로는 김사복 씨가 원래 위르겐 힌즈페터 씨를 태워줄 예정이었대요.그리고 택시기사를 찾고 있던 위르겐 힌즈페터 씨는 2016년에 고인이 되어 그의 유언대로 5.18민주묘지에 묻혔다고 합니다.그리고 실제 이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택시기사 김사복님을 찾지 못한 이유는 바로 호텔에 소속되어 있던 택시기사였기 때문에 일반택시에서는 찾을 수가 없었고 광주에 다녀온 몇년후 암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저도 사실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던 한 사람이었습니다.그런데 오래전 우연히 재미있다고 들은 웹툰 26년을 보고 그날의 일을 자세히 알게 된 사람 중 한 명이에요.그날의 진실과 마주하고 이걸 쓰기엔 너무 가볍게 쓰면 안 되는 주제라 사실 포스팅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했는데, 혹시 제 블로그에 들어오시는 분들이 부족한 포스팅을 보고 꼭 한번 봐주셨으면 해서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지난 그날 그 때 TV뉴스를 보고 있었다면 과연 저는 당신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영화를 좋아하는 그녀의 영화 택시 기사 리뷰였습니다.

사진 및 영상출처 : 네이버 영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