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에서 흉통의 원인이 없다면? 가슴이 아픕니다, 심장-폐

▲가슴통증은 여러 원인=심장이나 폐 검사를 해도 원인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고 꽃병이나 불안신경증에 의한 자율신경 과민반응이 흉곽 내부의 장기와 주변의 혈관과 근육을 과긴장하게 해 가슴이 아프다는 호소를 자주 받게 되면 여러 원인을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한다. 흉통 또는 흉통의 원인 중에는 심폐 관련 질환도 있으며 이곳에서는 아무리 검사해도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자율신경의 원인도 있다.

우선 첫 번째는 운동 부상 체크다. 피트니스 요가 골프 등 상체근육과 흉곽 주변 근육에 무리를 주는 운동을 하다 부상을 입는 경우도 많다.

특히 운동이나 경기 결과에 신경이 곤두선 상태에서는 운동 중 근육에 무리가 온 사실을 모르는 경우도 많다. 골프 스윙 연습을 너무 많이 한 뒤엔 몰랐지만 나중에 갈비뼈 골절이 오는 경우도 주변에 흔하다.

이 밖에도 요가나 피트니스 등 어려운 동작을 할 때 가슴이나 등 주변 근육에 무리하게 힘이 들어가면 근육 경직이 발생해 가슴 통증이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의 특징은 특정 동작을 할 때, 혹은 숨을 크게 내쉬고 들이마시면서 흉곽 주변의 근육을 자극하는 동작을 할 때, 특히 특정 부위가 심하게 아픈 경우 이는 흉곽 주변의 근육 통증을 먼저 점검하고 치료할 필요도 있다.

두 번째로 가슴이 아프다고 호소할 때 결코 대수롭지 않은 부분은 심장질환이다. 특히 40대 이후에는 심근경색, 협심증 등에 따른 심장마비 전조증상으로 흉통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이때는 왼쪽 가슴뿐 아니라 가운데, 오른쪽, 쇄골 아래, 명치 쪽 등으로 통증 부위가 개인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 그러니 심장이 있는 왼쪽 가슴의 통증이 아니라고 해서 심장질환은 아닐 것이라고 속단해서는 안 된다.

전형적인 경우에는 가슴이 쥐어짜이는 것처럼 아프기도 하지만 때로는 가슴이 답답한 정도, 안개가 낀 것 같은 느낌, 꽉 죄이는 느낌 등으로 통증이 심하지 않은 전조증상일 때도 많다.

이 정도인데도 심장혈관이 많이 막혀 있어 위급한 상황을 맞는 경우도 많은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빨리 걷거나 뛰거나 운동, 계단 오르기, 물건 들어올리기 등 근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슴 통증이나 숨이 찬 증상이 특히 잘 나타난다면 이때는 심장질환일 가능성이 더 높다.

이때는 즉시 심장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이 밖에 폐에 구멍이 뚫리는 기흉도 호흡 곤란과 함께 가슴 통증이 나타난다. 이는 그대로 두면 호흡곤란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병원에서 심장이나 폐, 유방 등 여러 부위를 검사해 보고도 흉통의 원인을 제대로 찾지 못했다는 환자도 많다. 이런 경우에는 자율신경 과민반응에 의한 신체화증후군인 경우가 많다.

일상생활에서 자신도 모르게 긴장하거나 불안, 숨겨진 분노를 억제하며 생활하거나 지나친 걱정과 걱정이 계속돼 내적으로 더 이상 견디기 어려운 불안감이 가중되는 경우가 있다.

아울러 가족의 갈등이나 직장이나 대인 갈등, 진로 불안, 사업 불안 등 개개인의 환경적 원인도 분석해서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때로는 a씨와 달리 겉으로는 아무런 갈등이 없어 보이는 환자도 많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성격적 긴장, 민감성이 원인일 수도 있다. 때로는 양심이나 체면, 자존심 등의 문제로 자신도 그런 부분을 힘들었다는 것을 모르고 참아 온 경우도 많다.

이 같은 긴장성 요인을 분석해 이 부분에 대한 마인드 컨트롤 노력을 함께해 나가는 것도 이 같은 자율신경 과민반응에 따른 신체 증상을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글/한의사 강영혁(분당 마음의 장소 한의원)

error: Content is protected !!